세계의 문화

이집트 - 로제타 스톤

MissJaneMarple 2012. 1. 26. 00:26

 

 

 

1799년 7월 19일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에서 56㎞ 떨어진 항구도시 로제타. 백인 병사들이 술렁거리며 모였습니다. 이들은 맘루크 왕조의 압제에서부터 이집트 민중을 구한다는 명분으로 이집트를 침공한 프랑스 군대의 병사였습니다. 사가(史家)들은 프랑스의 나폴레옹 군대가 영국의 영향력을 약화시키려고 이집트를 전략적 요충지로 확보한 것이라고 해석합니다.

 프랑스 군인들은 요새를 만들기 위해 참호를 파다가 커다란 현무암 비석을 발견했습니다. 높이 114cm, 가로 72cm, 두께 30cm의 석판이었습니다. 돌에는 54행의 그리스 문자와 이를 번역한 이집트 상형문자, 아랍인의 흘림체 문자가 새겨져 있었습니다. 로제타 스톤이 세상에 나오는 순간이었습니다.
 
프랑스 군은 2년 뒤 영국군에 패배하는 바람에 이 돌을 빼앗깁니다. 현재 로제타 스톤은 대영박물관에 보관 중이며 영국은 이집트의 끈질긴 반환 요구에도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습니다.

 

누가 봐도 로제타 스톤의 세 가지 문자는 같은 뜻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 분명했습니다. 학자들은 베일 속에 가려져있던 이집트 상형문자를 해독할 실마리를 찾았다고 흥분했습니다. 프랑스는 비록 로제타 스톤을 빼앗겼지만 다행히 이전에 떠놓은 탁본이 파리에 있었습니다.
 
영국에서는 의학, 물리학, 고고학의 세 분야에서 탁월한 업적을 남긴 천재 토머스 영 등의 학자들이 매달렸지만 그리스어를 통해 이 비석이 프톨레마이오스 5세의 공덕비라는 것을 알아내는데 그칩니다.프랑스에는 시대를 뛰어넘는 천재가 있었습니다. 바로 장 프랑스와 샹폴리옹입니다. 그는 6세 때 읽고 쓰기를 마쳤고 13세 때 산스크리트어, 아랍어, 페르시아어, 중국어에 옛 이집트어인 콥트어까지 익혔습니다.
그는 가난 속에서도 형의 도움을 받으며 자나 깨나 상형문자 연구에 매달립니다. 그러다 불현듯 이집트 상형문자는 중국 한자처럼 뜻을 나타낸다는 기존의 가정에 의문을 품습니다. 상형문자가 뜻뿐 아니라 소리를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깨달은 것입니다.
샹폴리옹은 우연에 우연을 거듭해서 파라오 27명의 이름을 해독하고 상형문자 알파벳 132개를 발표합니다. 이 과정에서 ‘제2의 로제타 스톤’으로 불린 오벨리스크에서 클레오파트라의 이름도 찾았습니다. 로마인의 역사책에서나 등장하던 클레오파트라를 이집트의 역사에 생생하게 되살려 놓은 것이죠.
샹폴리옹은 건강이 좋지 않아 42세 때 “이르다. 할 일이 많이 남았는데…”라는 말을 남기고 세상을 떠납니다. 그때까지만 해도 영국과 독일의 고고학자들은 샹폴리옹이 어거지로 상형문자를 풀이했다고 비난했습니다. 그러나 60여 년이 지나 경쟁국의 학자들도 샹폴리옹의 이론을 인정하지 않을 수가 없었습니다.
샹폴리옹이 우연히 실마리를 찾은 것은 모두 그가 자나 깨나 상형문자 생각만 했기 때문에 가능했겠지요. 우연은 결코 우연히 아무에게나 찾아오지 않는 법이지요.

출처: 코메디닷컴(kormedi.com)의 건강편지 제 517호 (2010-07-19일자)

 

건강편지의 글은 샹폴리옹에게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그래서 건강편지의 원제목은 <상형문자는 표의문자라는 상식을 깬 천재>였지요. 물론 그의 노력과 업적을 폄하할 생각은 조금도 없지만 로제타 스톤은 원래 이집트의 문화유물인데 영국과 프랑스가 싸우고 누가 이기느냐에 따라 전리품으로 이리저리 옮겨지는 것이 마플에게는 더 마음 아펐습니다.

 

나라를 제대로 지키지 못하면 사람도 그 땅의 동물도 오랜 기간 지켜온 문화도 그 민족의 뜻에 따라 할 수 있는 것은 없으니까요. 이집트에 들어온 서양인들은 미이라를 가져다 이벤트용으로 사용했지요. 사람들을 불러모아 놓고 미이라 붕대풀기 등을 하면서...

또, 고양이 미이라 등 동물 미이라 뿐만 아니라 사람의 미이라를 기차의 땔감으로 쓰기도 했습니다.

 

로제타 스톤에 대한 글과 사진은 많습니다. 다만 요새는 로제타 스톤으로 검색을 하니 영어 학습에 대한 것만 잔뜩 나오더군요. 아마 로제타 스톤의 해석으로 이집트 상형문자에 대한 수수께끼가 풀리는 계기가 되었기 때문에 외국어 학습에 획기적인....이런 의미로 붙인 이름이겠지요.

 

러제타 스톤 http://cafe.daum.net/101rotc13/F4T2/8?docid=1ASNt|F4T2|8|20080510010006&q=%B7%CE%C1%A6%C5%B8%20%BD%BA%C5%E6%C0%C7%20%C0%C7%B9%C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