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암 정병례 10 * 고암 선생의 블로그 http://hompy.buddhapia.com/homepy/goam/ * 고암 선생의 작품 해설이 있는 블로그 http://blog.daum.net/keun1015/14798696 http://blog.daum.net/jeongdaepower/3952421 http://blog.daum.net/callipia-2002/9771480 * http://blog.paran.com/raonnetworks/18718755 한국의 문화 2008.01.20
고암 정병례 5 지난 99년 봄 헤이그 아트 벨리에서 있었던 전각퍼포먼스는 환경미술의 연장선상에서 선보였던 전각예술이었다. 대형 석고판 위에 '길상운집'이라는 글자를 새기고 여럿이 운반해 땅에 묻는 과정을 퍼포먼스로 보여준 것과 논바닥에 발자국 형상을 양각으로 새겨 보여준 '행보 行步'는 소위 '대지미술.. 한국의 문화 2008.01.20
고암 정병례 4 고암 선생은 전각예술에 대한 기능과 예술로서의 의미도 남다르게 생각한다. "예술가가 사유한 어떤 진리를 선과 면과 색을 입혀 그림편지를 쓰는 겁니다. 기능은 손으로, 손에서 나오지만 예술과 아이디어는 가슴에서 나오는거지요. 열정이 없으면, 가슴이 뛰지 않으면 아이디어는 나오지 않습니다.".. 한국의 문화 2008.01.20
고암 정병례 3 / 삼족오 반기문 UN 사무총장에게도 보낸(한국이미지커뮤니케이션에서 증정한)바가 있는 고암의 삼족오는 그래서 다르다. 태양을 뒤로 하고 대우주를 향해 나래짓하는 삼족오이다. 삼족오는 하늘과 땅을 연결하는 신의 메신저이다. 정신적인 부분, 신앙적인 면을 형식적 양식을 달리해서 태양을 뒤로 함으로써.. 한국의 문화 2008.01.18
고암 정병례 2 고암 정병례는 전통의 의미를 옛것에서만 찾지 않는다. 과거와 현재와 미래가 어우러져야 한다는 것이다. 선사시대부터 내려오던 것에 21세기의 코드를 얹어 미래를 보려 애쓴다. 현재는 미래를 열어가는 길이 아닐까? 출처 : <오리엔탈이미지>19호 / 글, 오현희 / 사진, 윤동진 한국의 문화 2008.01.18
고암 정병례 1 고암 정벙례는 사람들 마음 속에 자신을 새겨 세상을 품는 작업을 하는 전각예술가로 평생을 걸어왔으며 전각예술가로서 더 큰 세상을 품어보기를 꿈꾼다. 그는 고향 전남 나주군 동강면에서 어릴 때는 글씨나 그림을 보는대로 따라 그려 신동 소리를 들으며 자랐다. 예술가에 대한 막연한 동경을 품.. 한국의 문화 2008.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