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경인년庚寅年이 백호의 해인가? 연말부터 60년만에 돌아오는 흰호랑이의 해라고, 그래서 올해는 지난 황금돼지의 해처럼 출생률이 높아질거라는 말들을 했다. 황금돼지의 해 때도 말하기 좋아하는 사람들이 그런 말을 하나보다~하고 무심하게 지나갔는데 흰호랑이의 해라고 말들을 하니까 호랑이의 해와 흰호랑이의 해를 구분하는 .. 한국의 문화 2010.01.03
북두칠성기 北斗七星旗 북두칠성기는 군기(軍旗)의 일종으로, 행진하거나 전장에서 대장이 장수들을 부르고 지휘하던 사각형의 깃발이다. 황색의 사각 천에 붉은색으로 북두칠성을 그려 넣었으며, 그 주위에 청(靑)·적(赤)·황(黃)·백색(白色)의 구름문양을 넣었다. 화염각(火炎脚: 불꽃모양을 상징하기 위해 깃발의 가장.. 한국의 문화 2008.12.30
윤은자 - 바람의 언어 윤은자_경복궁_잉크젯 프린트_71×103cm_2007 윤은자_초가_잉크젯 프린트_71×96cm_2007 윤은자_해미읍성_잉크젯 프린트_71×97cm_2007 윤은자_이승복동상_잉크젯 프린트_71×97cm_2007 윤은자_예술의전당_잉크젯 프린트_110×156cm_2007 바람과 천 그리고 색과 공간이 만드는 수많은 허공의 형상들은 첫 눈에 어디서 .. 사진 · 그림 2008.10.18
백호기白虎旗 조선시대 / 전쟁기념관 / 전쟁기념관도록 흰색은 오행(화, 수, 목, 금, 토) 중 金에 해당하고 방향은 서쪽, 계절은 가을에 해당한다. 경복궁의 서쪽문이 영추문이고 그 문 안쪽에 흰 호랑이를 그린 것은 이런 이유에서다. 용맹스런 흰 호랑이 깃발은 서쪽의 군사들이 사용했을 것이다. * 호기 : http://blog.da.. 한국의 문화 2008.08.19
태왕사신기 속의 사신, 오행, 오방색 이 표에 나타난 태왕사신기의 독특한 점은 <단군신화>에서 환웅과 함께 내려온 하급신 셋을 사신四神과 연결시키고 있는 점이다. 현무는 오행(목, 화, 토, 금, 수) 중 水에 해당하므로 우사雨師라고 해도 무리는 없다. 용은 구름 위를 다니는 상상의 동물이므로 운사雲師와 연결지을 수 있다. 백호.. 한국의 문화 2007.0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