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인지문 3 음양과 만물 사이에 유기적인 운용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는 '오행五行'은 동방문화의 중요한 해석틀이다. 조선에서도 서울 성곽을 만들면서 풍수와 음양오행사상의 원리를 적용하였다. 오방과 오상의 원리를 접목시켜 '동 - 흥인지문(興仁之門), 남 - 숭례문(崇禮門), 서 - 돈의문(敦義門)'과 같이 명명.. 한국의 문화 2007.03.13
흥인지문 2 사진을 통해 흥인지문 앞으로 전차가 다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흥인지문 1과 다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전차가 다니려면 성벽은 허물었겠지요? 흥인지문에 방어의 역할을 하는 옹성이 있었음을 보여줍니다. 옹성이 뭐냐구요? 여기서 '옹성'으로 검색하시면 전에 수원성을 말할 때 써놓은 것을 .. 한국의 문화 2007.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