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타기는 아주 오래 전 오지 마을에서 손으로 탈곡하던 도구였다.
이제는 이름을 기억하는 사람조차 드물고, 실물을 구경하기 어려운데
봉추 마을에서 그것 찾아냈다.
족타기는 쇠판을 참빗 모양으로 사이사이에 구멍을 뚫어 놓은 것으로,
족타기 하나에 두 사람씩 필요하다. 옆의 사람이 볏단을 풀어 적당량을 추려 넘기면,
탈곡하는 사람은 볏단의 나락 부분을 족타기에 걸고 힘껏 잡아당긴다.
나락은 족타기에 걸려 '촤아악'소리를 내며 아래로 떨어진다.
한줌의 볏단은 두세 번 족타기를 거쳐야 알곡이 남김없이 떨어진다.
족타기 틈새로 볏짚이 걸리면 이를 걷어내고, 족타기 탈곡은 계속된다.
하지만 족타기는 드는 힘에 비해 한번 탈곡의 양도 적고, 작업 속도도 더디기 그지없다.
설명 출처 : http://www.feelpoem.com/zeroboard/zboard.php?id=wisdom&no=7888
아주 오래전에 큰댁에서 족타기를 본 적이 있습니다.
물론 큰댁 어른들이 족타기를 이용해서 동영상처럼 탈곡을 했었지요.
그런데 저 도구의 이름이 족타기인지는 몰랐습니다.
프루나에서 다운받았는데 '족타기로 벼 터는 소리'라는 제목이 붙어 있더라구요.
족타기? ㅡㅡ;;
미심 쩍어서 확인을 하려고 사전 검색을 했는데 다음과 네이버 사전에는 나오지 않았어요.
그러다가 족타기에 대해 친절하게 설명해 놓은 곳을 발견했어요.
그곳에서 제가 올린 동영상이 있더라구요.
큰댁에 이 오래된 도구가 남아 있을까요?
'한국의 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조룡 五爪龍 - [디워] 심형래 감독에게 건의하는 것 (0) | 2007.08.11 |
---|---|
한국 禪 - 부처님 배꼽도 빼놓고 ‘생활 화두’ 툭툭 (0) | 2007.07.27 |
경회루 출토 용龍 (0) | 2007.07.13 |
상여 장식물 3 (0) | 2007.07.11 |
상여 장식물 2 (0) | 2007.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