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 흙을 상징하며 전통적으로 건축물의 액막이용으로 사용되어 왔다.
현대적인 건축물에 여전히 붉은 벽돌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또한 적토는 강한 대지의 기운을 상징하기도 하는데 삼국지에 나오는 운장 관우의
애마 적토마가 바로 이런 기운을 갖고 있는 말이다.
의복에는 사용하지 않고 주로 흙을 서술하거나 흙의 용도를 분리할 때 사용하였다.
출처 : http://www.designdb.com/zine/20020506_24.asp
W님의 반응
색에 대란 영화로는 예전 "씨암 선셋"이라는 영화가 생각이 납니다
울루물루 색상은 아침 점심 저녁 밤 시시때때로 달라지는데,
호주의 자연 사막 대지의 다양한 색상중에서 하나를 착안해 낸 색인데
영화 내용은 전반적으로 기괴하지만, 색상 만큼은 참으로 인상적이였어요
밝은 적갈색 (노랑 빛을 많이 포함한)
'한국의 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색 - 송화색 松花色 / 행황색 杏黃色 (0) | 2007.03.12 |
---|---|
한국의 색 - 황색 黃色 (0) | 2007.03.12 |
한국의 색 - 석간주색 (0) | 2007.03.12 |
한국의 색 - 훈색 (0) | 2007.03.12 |
한국의 색 - 갈색 褐色 / 호박색 琥珀色 (0) | 2007.03.12 |